
사내 서버에 젠킨스 설치도중 아래와 같은 에러 발생. Error: Package: jenkins-2.319.2-1.1.noarch (jenkins) Requires: daemonize ]# yum install jenkins Loaded plugins: extras_suggestions, langpacks, priorities, update-motd jenkins | 2.9 kB 00:00:00 jenkins/primary_db | 40 kB 00:00:00 Resolving Dependencies --> Running transaction check ---> Package jenkins.noarch 0:2.319.2-1.1 will be installed --> Processing Dependency:..
spring-data-jpa 를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진행중에 insert (save()) 를 할경우 해당 테이블 컬럼의 default 값이 적용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.. 막연하게 @Entity 객체의 null 인 필드는 insert 시 제외되는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였다..해당 소스는 GitHub 에 있다.사실 해당필드를 원시타입으로 지정할 수도 있고 private Integer likeCount = 0; 이런식으로 초기화가 가능하지만 이렇게 진행은 하지 않았다. 왜냐하면 업데이트될 entity 를 새로 생성하였을 경우 값이 항상 default 값을 가지게 되기 떄문에.. 다른 문제가 발생하였기 때문이다. 매체 테이블이 있다고 가정하고. (like_count 는 default 값으로 0 을 주었다.)..
JPA 를 사용할때 N+1 문제가 발생합니다.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방법들을 사용하는데요~! QueryDSL@Query ( org.springframework.data.jpa.repository )@EntityGraph ( org.springframework.data.jpa.repository )... 아는건 여기까지 ..위 내용에 대해서는 여러 많은 블로그에 존재합니다~! 위 방법들을 사용해서 N+1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필요한 도메인 정보를 가져 왔을때제대로 가져 왔는지 어떻게 테스트를 하지? 하고 고민을하고 구글링으로 찾은 내용 입니다. 사용한방법으로는 Hibernate.isInitialized ( package org.hibernate ) 입니다.package org.hibernate; //생..
Spring Web Project 를 진행하면서 @Valid 어노테이션을 자주 사용하여 validation 검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. 하지만 기존 javax validation 이나, hibernate 에서 제공하는 validation annotation 등으로 (@NotBlank, @Length, @URL, @NotNull 등등.. ) validation 검증을 하기에 힘든 부분이 있어 이를 해결하는 방법의 하나로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. 블로그 코드는 GitHub 에서 볼 수 있습니다 보통 Spring Web Project 에서 validation 을 검증할 경우 아래와 같이 진행하게 됩니다. Controller @RestController public class ContentController..
이번에 작성할 글은 query dsl 을 사용하여 fetch join 을 사용할시에 limit 를 사용할시 주의하여야 할 점에 대하여 정리하고자 합니다!블로그 코드는 GitHub 에서 볼 수 있습니다 최초 데이터USER TABLE (ONE) 3개의 데이터 존재INSERT INTO USER (idx, user_id, password, name, email) VALUES (1, 'joonghyun', 'pwd1', '최중현', 'wndgus@gmail.com'); INSERT INTO USER (idx, user_id, password, name, email) VALUES (2, 'dakim', 'pwd2', '김다애', 'ekdo@gmail.com'); INSERT INTO USER (idx, user_i..
신규 프로젝트에 쿼리 dsl 을 도입하고 삽질한 내용을 정리하고자 합니다.블로그 코드는 GitHub 에서 볼 수 있습니다. 1. one to many 관계 join 시 중복제거 이슈. USER TABLE (ONE) 3개의 데이터 존재INSERT INTO USER (idx, user_id, password, name, email) VALUES (1, 'joonghyun', 'pwd1', '최중현', 'wndgus@gmail.com'); INSERT INTO USER (idx, user_id, password, name, email) VALUES (2, 'dakim', 'pwd2', '김다애', 'ekdo@gmail.com'); INSERT INTO USER (idx, user_id, password, na..
줌인터넷 입사후 파일럿프로젝트를 진행. 첫 프로젝트인 만큼 조금이라도 잘 하고싶은 마음에.. SonarQube 를 사용하여 코드분석을 하게 되었고 로컬환경에서 Docker 를 활용하여 SonarQube 를 설치, gradle sonarqube 플러그인으로 프로젝트 분석한 내용입니다! 먼저 로컬환경에 Docker 를 설치하여야 합니다.https://docs.docker.com/docker-for-windows/install/#download-docker-for-windows Docker install gogo~ Docker install 후 Docker 를 windows 환경에서 실행하기 위해서는 'Windows 10 Pro 및 Microsoft Hyper-V가 필요합니다.' 라고 docker 에서 말하고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페치조인
- error
- fetchjoin
- Limit
- Docker
- DEMONIZE
- hibernate
- Database
- query dsl
- @Valid
- ec2
- n+1
- JUnit
- 쿼리
- insert
- web
- Validation
- QueryDSL
- spring-data-jpa
- spring
- SpringBoot
- query
- 개발
- fetch join
- SonarQube
- orm
- Jenkins
- jpa
- Spring Boot
- gradle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